이충무공의 생애 가운데 장수로서의 덕과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구국제민의 뜻을 편 때가 전라좌수영과 인연을 맺은 8년간(1591~1598)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48살(1592년 4월)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서 우리 수군의 활약으로 전세를 승리로 이끌었으며 49살(1593년 8월)에는 조정에서 전라 좌수사 겸 삼도수군통제사로 삼아 권한을 많이 주어 활약케 하였 으나 53살(1597년 3월)에는 왜군과 원균의 모함으로 투옥되었다가 백의종군의 억울함도 당하기도 하였다.
53살(1597년 8월)에는 다시 전라좌수사 겸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 으며 54살(1598년 11월)에는 순천 왜교로 후퇴한 소서행장의 퇴로차단작전을 명나라 장수 진린과 더불어 강행하던 중 1598년 11 월 19일 미명에 여수반도 건너편 남해도 관음포 앞바다에서 적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거북선 건조지
선소
판옥선, 병조선, 전투선, 맹선등을 제작하고 수리한 조선소임. 소재지는 여수시 시전동 708번지 일대
효의 실천지
임진왜란이 일어난 뒤에 본가는 부인께 맡기고 77살의 노모(변씨부인)을 아산에서 전라좌수영 근교 古音川(현 여수시 웅천동 송현부락)에 모셨다. 이곳은 본영에서 20리 남짓하여 노모의 안후를 살피기 쉬운 거리인데다 충무공의 군관으로 있는 정대수장군댁 초당인지라 안심하고 모실 수 있는 곳이었다.
장군의 난중일기중에서 노모에 관한 기록은 88일분을 남기고 있어 그의 효성을 짐작할 수 있다. 임란 3년째 갑오년 정월에는 노모와 설을 같이 지내며 "어머님을 뫼시고 함께 한 살을 더하게 되니 이는 난리중에도 다행한 일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모친 생신때 전쟁중이라 직접 가뵙지 못함을 안타까이 여기고 있음을 기록에 남겼다.
특히 그가 모함에 빠져 투옥된 뒤 노모가 고음천에서 소식을 듣고 선편으로 아산 고향으로 올라오는 도중에 풍랑조차 만나 고통 끝에 82살로 숨을 거두었을 때 이 소식을 들은 공의 애달픈 마음, 그러나 금부도사의 재촉에 못이겨 백의종군길을 떠나야 했던 공의 심정은 난중일기를 읽는 이의 눈시울을 뜨겁게 한다.
국가사적 1호
여수의 충민사는 이충무공 순국 3년 뒤(1601년) 우의정 이항복이 사당 건립 제안하여 삼도수군통제사 이시언의 주관하에 사당이 건립되고 그후 조정에서 사액하여 국립사당(서원)으로 된 것이다.
그러나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인해 3곳 모두 사액서원임에도 불구하고 세상에 사표가 될 1인을 1개 서원 이외에서는 향사하지 못한다는 원칙과 그 당시 삼도수군통제영이 통영에 있다하여 통영의 충렬사만 남기고 충민사와 현충사는 철폐되는 아쉬움이 있었다.
광복후 1947년 충민사를 다시 세워 관리해 오다가 1993년 6월 1일 국가사적지(381호
이충무공의 생애 가운데 장수로서의 덕과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구국제민의 뜻을 편 때가 전라좌수영과 인연을 맺은 8년간(1591~1598)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48살(1592년 4월)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서 우리 수군의 활약으로 전세를 승리로 이끌었으며 49살(1593년 8월)에는 조정에서 전라 좌수사 겸 삼도수군통제사로 삼아 권한을 많이 주어 활약케 하였 으나 53살(1597년 3월)에는 왜군과 원균의 모함으로 투옥되었다가 백의종군의 억울함도 당하기도 하였다.
53살(1597년 8월)에는 다시 전라좌수사 겸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 으며 54살(1598년 11월)에는 순천 왜교로 후퇴한 소서행장의 퇴로차단작전을 명나라 장수 진린과 더불어 강행하던 중 1598년 11 월 19일 미명에 여수반도 건너편 남해도 관음포 앞바다에서 적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오동도
3월 국내 여행지로 추천되는 여수 오동도는 동백꽃과 함께 봄의 시작을 알리는 명소입니다. 섬 전체를 둘러싼 해안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봄꽃과 바다의 조화를 즐겨보세요.
오동도 등대에 올라가면 여수 앞바다의 전경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어요!
이 봄, 아름다운 꽃들과 함께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행복한 봄 여행 되세요!
2. 구례
화엄사 홍매화
3월 말부터 4월 초까지 300년 수령의 홍매화가 절정을 이루는 구례 화엄사는 고찰의 분위기와 붉은 매화의 조화가 매력적인 곳입니다.
볼거리
- 300년 된 홍매화 나무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화엄사
- 지리산의 봄 풍경
3. 구례 산수유마을
노란 물결이 펼쳐지는 구례 산수유마을은 3월 말부터 4월 초까지 절정을 맞이합니다. 마을 전체를 둘러싼 노란색 꽃동산이 봄 데이트에 딱 좋은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봄 감성을 만끽해 보세요.
구례 산수유마을
볼거리
- 노란 산수유꽃 군락지
- 전통 그네와 돌담길
- 계곡물이 흐르는 아름다운 풍경
꿀팁: 매년 열리는 산수유축제와 함께 방문하면 더욱 풍성한 경험을 할 수 있어요!
<script src="https://ads-partners.coupang.com/g.js"></script> <script> new PartnersCoupang.G({"id":851489,"template":"carousel","trackingCode":"AF9221026","width":"680","height":"140","tsource":""}); </script>
4. 하동 십리벚꽃길
3월 말부터 4월 초까지 섬진강변을 따라 펼쳐지는 하동 십리벚꽃길은 환상적인 벚꽃 터널을 자랑합니다. 강변을 따라 걸으며 봄의 정취를 느껴보세요.
하동 벚꽃길
주변 명소
- 쌍계사
- 화개장터
- 전통 혼례길
5. 구례
지리산 치즈랜드
3월 말부터 4월까지 수선화가 만개하는 구례 지리산 치즈랜드는 봄꽃과 함께 지리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입니다.
즐길거리
- 수선화 군락지
- 동물 농장 체험
- 지리산 풍경 감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순신 장군 생애 정리,전라좌수영 이야기
#임진왜란 #충무공 #거북선 #해전 #전라좌수사 #삼도수군통제사 #난중일기 #전투 전략 #조선 수군 #역사적 인물 #이순신 동상 #이순신 기념관 #이순신 전쟁 #명량 해전 #이순신의 업적 #이순신 생애 #이순신 유적지 #이순신과 왜군 #이순신의 효행